자유NKorea's only voice of freedom
#경제

인천, 한중 외교 주도…경제 협력 공동선언 추진 (대통령 이름 수정 필요)

류근웅 기자· 2025. 10. 29. 오후 6:12:23|
인천, 한중 외교 주도…경제 협력 공동선언 추진 (대통령 이름 수정 필요)

인천, 한중 외교 주도…경제 협력 공동선언 추진

2025년 10월 29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제3회 한중 시장지사성장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은 한국과 중국 지방정부 간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공동선언을 주도하여, 양국 간의 실질적인 교류 확대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이번 공동선언은 단순한 협력 의지를 표명하는 수준을 넘어, 구체적인 협력 방안과 실행 계획을 담고 있어, 향후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또한, 이번 회의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한국과 중국 간의 경제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미래지향적인 관계 발전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주도한 이번 공동선언은, 양국 지방정부 간의 경제 협력을 촉진하고, 상호 투자 및 교류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첨단 산업, 스마트시티, 친환경 에너지 등 미래 성장 동력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고, 문화, 관광,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양국 지방정부는 공동 연구 개발 및 기술 교류를 통해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상용화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공동선언은, 한국과 중국 지방정부 간의 경제 협력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양국 경제의 공동 번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제4회 한중 시장지사성장회의는 2027년 중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는 한국과 중국이 2년마다 번갈아 가며 개최하는 정례 회의로, 양국 지방정부 간의 교류 협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7년 중국에서 개최될 제4회 회의에서는,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구체화하고, 새로운 협력 분야를 발굴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국 정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한국과의 경제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상호 투자 및 교류를 확대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5년 10월 30일 김해공항을 통해 대한민국을 방한할 예정이다. 이번 방한은, 한중 양국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경제, 문화,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시진핑 주석은 이번 방한 기간 동안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시진핑 주석은 한국 경제계 인사들과의 만남을 통해, 투자 및 교류 확대를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방한 첫 일정으로 부산에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마지막 대좌는 2019년 6월 일본 G20 정상회의였다. 이번 한미중 3국 정상회담은, 미중 무역 갈등, 북핵 문제 등 주요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중 무역 대표는 2025년 10월 25~26일 말레이시아 협상에서 '각자의 우려를 해결하는 계획'에 관해 기본적으로 동의한 바 있어, 이번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또한, 북핵 문제와 관련하여, 한미중 3국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공동 노력을 강화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11월 1일 정상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한중 관계의 발전 방향, 경제 협력 강화, 한반도 평화 안정 등 다양한 의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에게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지지를 요청하고,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양국 정상은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해, 투자 확대, 기술 교류, 인적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기사

AliEx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