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NKorea's only voice of freedom
#경제

캐시 우드 "금리 상승 반전 시 시장 충격" 경고

류근웅 기자· 10/29/2025, 1:58:39 AM|
캐시 우드 "금리 상승 반전 시 시장 충격" 경고

캐시 우드 "금리 상승 반전 시 시장 충격" 경고

‘돈나무 언니’로 잘 알려진 캐시 우드 아크 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CEO)가 금리 상승 반전 가능성을 경고하며 시장에 미칠 충격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우드 CEO는 2025년 10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미래 투자 이니셔티브(FII) 행사에 참석, 미국 CNBC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놓았다. 그녀는 현재 시장의 주요 관심사가 금리 인하에 집중되어 있지만, 조만간 금리 상승으로 다시 초점이 옮겨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시장이 예상치 못한 충격에 직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술주 중심의 투자 전략을 펼쳐온 우드 CEO의 발언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상당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녀의 분석은 거시 경제 환경 변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향후 금리 정책 변화와 그에 따른 시장의 반응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캐시 우드 CEO는 인터뷰에서 "우리는 내년 중 시장의 관심사가 금리 인하에서 (다시) 금리 상승으로 옮겨가는 순간을 맞이할 것"이라며, 이러한 변화가 시장에 상당한 충격파를 던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녀의 발언은 현재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과도하게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투자자들이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 관리에 더욱 집중해야 함을 강조한다. 특히, 금리 상승은 기업의 차입 비용 증가로 이어져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이는 주식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금리 상승은 채권 가격 하락을 초래하여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안겨줄 수 있으며, 부동산 시장에도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금리 변동에 따른 자산 가치 변동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는 등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편, 홍콩 증시는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29일 1%가 넘는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캐시 우드 CEO의 금리 상승 경고와는 다소 상반된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오후 12시 3분 현재, 홍콩 항셍지수는 전장 대비 1.44% 상승한 26,503.65에 거래되었으며, 항셍H지수는 1.23% 상승한 9,417.58에 거래되었다. 이러한 홍콩 증시의 상승은 기술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여전히 견조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다만, 캐시 우드 CEO의 경고처럼 금리 상승 반전이 현실화될 경우, 홍콩 증시 역시 조정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홍콩 증시에 투자하고 있는 투자자들은 금리 변동 추이를 면밀히 관찰하며, 투자 전략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아시아 시장 전반에서는 29일 오전 미국 주가지수 선물이 강세를 나타냈고, 미국 국채 금리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 시각으로 오전 10시 35분 기준, E-미니 S&P500 지수 선물은 전장 대비 0.19% 오른 6,709.00에 거래되었으며, 기술주 중심의 E-미니 나스닥100 지수는 0.26% 오른 24,792.00을 가리켰다. 이는 미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이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캐시 우드 CEO의 경고처럼 금리 상승 반전이 현실화될 경우, 이러한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으며, 주식 시장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금리 변동 추이와 함께 미국 경제 지표를 면밀히 관찰하며, 투자 전략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들은 캐시 우드 CEO의 금리 상승 경고에 대해 예의주시하며,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대한민국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금리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부는 금리 변동에 따른 국내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고, 실물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역시 금리 정책 변화에 대한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혀왔으며, 이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양국 정부의 금리 정책 관련 발표에 주목하며,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관련 기사

AliEx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