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NKorea's only voice of freedom
#기술

젠슨황 "AI 경쟁, 중국 인재 포용이 승리 열쇠"

류근웅 기자· 2025. 10. 29. 오전 7:14:56|
젠슨황 "AI 경쟁, 중국 인재 포용이 승리 열쇠"

젠슨 황 "AI 경쟁, 중국 인재 포용이 승리 열쇠"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중국 인재 포용을 강조했다. 2025년 10월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월터 E. 워싱턴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 행사(GTC)에서 젠슨 황 CEO는 AI 경쟁 관련 질문에 답변하며 이같이 밝혔다. 젠슨 황 CEO의 발언은 미국이 AI 분야에서 중국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국적에 관계없이 뛰어난 인재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중국은 막대한 자본과 인력을 바탕으로 AI 기술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중국 인재를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다. 이러한 젠슨 황 CEO의 발언은 최근 미국 내에서 불고 있는 반(反)중국 정서와는 다소 상반된 입장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인재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 또한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발언에 앞서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은 "중국 문제는 중국인 문제가 아니라 중국 정부 문제"라고 언급하며, 중국 정부의 정책과는 별개로 중국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미국이 AI 기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국 정부의 정책과는 구분하여 중국 인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젠슨 황 CEO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 인재 포용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젠슨 황 CEO는 같은 날 행사에서 미국 에너지부에 AI 슈퍼컴퓨터 7대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발표하며, AI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는 AI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엔비디아는 AI 슈퍼컴퓨터 구축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에너지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엔비디아는 노키아에 10억 달러를 투자하여 AI 통신 동맹을 강화하고, 노키아에 지분 투자를 단행하여 통신 장비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젠슨 황 CEO의 행보는 단순히 인재 확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미국 기업들이 글로벌 AI 기술 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기술 패권 경쟁 시대에 인재 확보는 곧 국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며, 특히 AI 분야는 미래 산업의 핵심 동력으로 꼽히는 만큼,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각국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이재명 대한민국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국내 AI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인재 유치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은 2025년 10월 29일 오전 김해공항으로 입국하여 경주 APEC 일정에 참여할 예정이며, 시진핑 주석 또한 국빈 자격으로 2025년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2025년 10월 30일에는 미중 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어, AI 기술 경쟁을 포함한 다양한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 2500억 달러 규모의 애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AI 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AI 기술을 더욱 광범위하게 보급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글로벌 IT 기업들은 AI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와 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AI 기술 발전과 산업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젠슨 황 CEO의 발언은 AI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인재 확보가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글로벌 기업들의 인재 확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대한민국은 AI 분야에서 후발주자로 평가받고 있지만, 우수한 인재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AI 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젠슨 황 CEO의 발언은 한국 AI 산업의 미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관련 기사

AliEx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