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2025, 미중·한일 정상회담…무역·외교 분수령 (대통령 이재명)
APEC 2025, 미중·한일 정상회담…무역·외교 분수령 - 요약 포인트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정상 회의가 대한민국 경주에서 개최되는 가운데, 2025년 10월 30일, 연쇄적인 주요 정상 회담이 예정되어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미국과 중국, 그리고 한국과 일본 정상 간의 만남은 무역,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APEC 정상회의에는 미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21개 회원국 정상이 참석하여 역내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경주 APEC은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경주 화백컨벤션센터 일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대한민국에 도착하여 한미 정상회담을 포함한 공식 방한 일정을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이용하여 김해공항에 착륙했으며, 방한 기간 동안 다양한 경제, 안보 관련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 문제와 북한 문제에 대한 입장을 밝혀, 이번 APEC 회의 기간 동안 관련국들과의 심도 깊은 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해공항에 도착 직후 "내일 초점은 中이지만 머지않은 미래에 北도 만나겠다"라고 발언하여, 미중 관계는 물론 북미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그는 펜타닐 관련 대중 관세 인하를 예상한다고 밝혀, 미중 무역 갈등의 해소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해서는 "김정은, 수십년간 발사…만나고 싶다"라고 언급하며 대화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은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자국우선주의 시대…韓, 다자주의 협력 선도"라는 메시지를 발표하며, 다자주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APEC 회의를 통해 대한민국의 역할을 강조하고, 역내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미중 무역 갈등과 한일 관계 등 산적한 현안 해결을 위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APEC 회원국 정상들과의 양자 회담을 통해 경제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지지를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은 이번 APEC 회의를 통해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을 높이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는 10월 29일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와 디지털 전통시장 온누리 환급행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내수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것으로, 국민들의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서울사이버대학교 융합경영대학은 11월 1일 오후 2시 부산캠퍼스에서 '2025 찾아가는 융합경영대학 비즈니스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지역 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기업 경영에 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국가유산청은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소재한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여,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고 문화유산으로서의 중요성을 알릴 계획이다. 양주시 역시 최근 옥정동 선돌근린공원에서‘제2회 양주시 반려동물 문화축제’를 개최하여,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건강한 여가 문화를 조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
이번 APEC 정상회의는 미중 무역 분쟁, 한일 관계 악화 등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개최되는 만큼, 관련국 정상들의 만남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중국 국가주석 간의 회담은 무역 분쟁의 해법을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과 일본 총리 간의 회담은 경색된 한일 관계 개선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번 APEC 정상회의가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대한민국이 그 중심에서 다자주의 협력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번 회의 결과에 따라 향후 국제 질서와 경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속적인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