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NKorea's only voice of freedom
#기술

삼성SDS 3분기 영업익 2323억, 전년比 8.1% 감소

류근웅 기자· 2025. 10. 30. 오후 3:32:44|
삼성SDS 3분기 영업익 2323억, 전년比 8.1% 감소

삼성SDS, 3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8.1% 감소

삼성SDS가 2025년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며 매출액 감소와 영업이익 하락을 기록했다. 2025년 10월 30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삼성SDS는 3분기 매출액 3조3913억 원, 영업이익 2323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5% 감소, 영업이익은 8.1% 감소한 수치다. 이러한 실적 감소는 IT서비스 부문과 물류 부문에서의 매출액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IT서비스 부문은 경쟁 심화와 함께 일부 프로젝트 지연 등의 영향으로 매출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클라우드 사업은 성장세를 유지하며 일부 상쇄 효과를 나타냈지만, 전체적인 실적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다.

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삼성SDS의 IT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1조595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1% 감소했다. 이는 디지털 전환(DX)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장 경쟁 심화와 일부 프로젝트의 지연으로 인해 매출 성장세가 둔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SDS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보안 등 고부가 가치 IT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하고, 대외 사업 확대를 통해 성장 모멘텀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치열해지는 시장 경쟁 속에서 삼성SDS가 IT서비스 부문의 실적 부진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의 경제 정책 기조와 맞물려 삼성SDS의 IT 서비스 전략이 어떠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클라우드 사업은 비교적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삼성SDS의 클라우드 사업 매출액은 674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 증가했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CSP) 매출액은 18% 증가하며 클라우드 사업 성장을 견인했다. 이는 기업들의 클라우드 전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데다, 삼성SDS가 보유한 클라우드 기술력과 서비스 역량이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삼성SDS는 앞으로도 클라우드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사업을 강화하고, PaaS(Platform as a Service) 사업 영역을 확대하여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IT 정책 변화 역시 삼성SDS의 클라우드 사업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물류 부문에서는 매출액 감소가 두드러졌다. 삼성SDS의 물류 부문 매출액은 1조795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하락했다.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함께 해상 운임 하락, 물동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는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첼로스퀘어의 가입 고객은 전년 대비 31% 증가한 2만3451개사를 기록하며 디지털 물류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삼성SDS는 첼로스퀘어를 통해 물류 프로세스 자동화, 가시성 확보,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글로벌 물류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글로벌 경제 상황이 여전히 불확실한 만큼, 물류 부문의 실적 회복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삼성SDS는 2025년 3분기에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하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IT서비스 부문과 물류 부문의 부진을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세가 일부 상쇄했지만, 전체적인 실적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삼성SDS는 앞으로 AI, 클라우드, 보안 등 고부가 가치 IT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하고, 대외 사업 확대 및 디지털 물류 플랫폼 강화를 통해 실적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 시장 경쟁 심화 등 대내외적인 어려움이 산적해 있어 삼성SDS가 이러한 난관을 어떻게 극복해 나갈지 주목된다. 특히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 정부의 경제 정책 방향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IT 정책 변화가 삼성SDS의 사업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면밀히 분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 기사

AliEx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