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미 협상 타결에 환율 급락, 현대차·기아 주가 급등
류근웅 기자· 2025. 10. 30. 오전 12:19:46|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환율 급락 및 현대차·기아 주가 급등
2025년 10월 29일, 대한민국과 미국 간의 관세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국내 금융 시장과 자동차 산업에 즉각적인 파급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번 협상을 통해 대미 투자와 관련된 세부 사항에 대해 합의를 이뤘다고 발표했다. 특히, 이번 합의에는 대규모 금융 투자와 조선업 협력이 포함되어 있어 양국 경제 협력 관계가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자 원/달러 환율은 급격하게 하락했으며, 현대차와 기아의 주가가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애프터마켓에서 급등하는 등 긍정적인 시장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이번 협상 결과는 국내 경제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실 정책실장 김용범 실장은 이번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했다. 김 실장은 "대미 금융 투자는 총 3500억 달러 규모로, 현금 투자 2000억 달러와 조선업 협력 1500억 달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라고 밝혔다. 또한, 대미 투자 상한은 연간 200억 달러로 설정되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투자 합의는 국내 자본의 해외 투자 확대를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조선업 분야의 기술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번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더욱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대미 투자 확대를 통해 양국 간 경제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국내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더불어 대통령실은 이번 협상을 통해 미국의 대한국 자동차 품목에 대한 관세가 15%로 인하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국내 자동차 업계의 숙원 사업이었던 관세 장벽 완화를 이끌어낸 것으로, 미국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관세도 15%로 인하됩니다."라고 강조하며, 이번 관세 인하가 국내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했다. 이번 관세 인하 조치는 현대차와 기아를 비롯한 국내 자동차 제조사들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미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를 통해 실적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번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자동차 산업의 수출 확대를 적극 지원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 강화에도 힘쓸 계획이다.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자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애프터마켓에서 현대차와 기아의 주가가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대차는 애프터마켓에서 전날 한국거래소 종가 대비 13.97% 상승한 28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관세 인하 효과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대미 투자 확대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기아 역시 애프터마켓에서 전날 한국거래소 종가 대비 10.48% 상승한 12만5천500원에 장을 마감하며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 이번 주가 급등은 국내 자동차 산업에 대한 투자 심리를 개선하고, 관련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식 시장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이는 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은 이번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대해 "양국 경제의 상호 호혜적인 발전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더욱 굳건한 경제 동반자 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또한 이번 협상 타결을 환영하며, "미국과 한국의 경제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양국 정상은 이번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글로벌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특히, 에너지, 기술,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더욱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양국 간의 경제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해나갈 방침이다.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