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셧다운 장기화 속 공무원 대규모 감축
트럼프 정부, 셧다운 장기화 속 공무원 4100명 이상 감축 예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셧다운 장기화 국면에서 대규모 공무원 감축을 예고해 파장이 예상된다. 2025년 10월 11일 또는 12일, 트럼프 행정부는 최소 4100명 이상의 공무원을 해고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셧다운으로 인한 정부 기능 마비 상황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나온 조치로, 정부 효율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감축이 정부 서비스 질 저하와 공무원들의 사기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감축 대상에 주요 부처가 대거 포함되면서, 정책 추진 동력 약화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공무원 감축 계획을 법원에 제출한 답변서를 통해 공식화했다. 답변서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재무부 등 주요 부처에서 대대적인 인력 감축이 단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결정은 셧다운으로 인해 발생한 재정적 압박을 해소하고, 정부 조직을 슬림화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야당과 노동계는 이번 감축이 공공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고,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비판하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보건복지부와 같이 국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처의 인력 감축은 의료 서비스 접근성 저하 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백악관 예산관리국의 스티븐 빌리 선임보좌관은 이번 감축 계획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문건을 공개했다. 문건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에서 1100명에서 1200명, 재무부에서 1446명, 교육부에서 466명을 대상으로 감축 통보가 이미 진행 중이거나 예정되어 있다. 이처럼 대규모 감축이 단행되는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재정 감축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정부 규모 축소와 규제 완화를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하겠다는 정책을 추진해왔으며, 이번 공무원 감축도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번 감축이 특정 부처에 집중되면서 형평성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교육부의 경우,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 예산 감축으로 인해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인력 감축은 교육 현장의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감원 대상에는 상무부 315명, 에너지부 187명, 주택도시개발부(HUD) 442명, 국토안보부(DHS) 176명, 환경보호청(EPA) 10명에서 30명 등 다양한 부처가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광범위한 부처에서 인력 감축이 이루어지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가 정부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각 부처의 특성과 업무량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인 감축은 오히려 업무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핵심 기능 수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국토안보부와 같이 국가 안보와 관련된 부처의 인력 감축은 테러 대응 능력 약화 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번 공무원 감축 계획은 미국공무원연맹(AFGE)이 셧다운 직전에 제기한 해고 중단 소송에 대한 정부 측 법원 답변서에 명시되어 더욱 논란이 되고 있다. AFGE는 정부의 일방적인 해고 추진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며 법적 대응에 나섰다. 이들은 정부의 감축 계획이 공무원들의 고용 불안을 야기하고, 궁극적으로 공공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AFGE는 정부가 감축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노동조합과의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았다고 비판하며 절차적 정당성 문제도 제기하고 있다. 이번 소송 결과에 따라 정부의 감축 계획에 제동이 걸릴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러셀 보트 예산관리국장은 엑스(X)를 통해 "인력 감축이 시작됐다"고 공개적으로 밝혀 논란을 더욱 확산시켰다. 보트 국장의 발언은 정부의 감축 의지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공무원 사회의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그의 발언은 감축 계획이 이미 상당 부분 진행되었음을 시사하며, AFGE 등 노동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앞으로 정부와 노동계 간의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공무원 감축 사태가 미국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