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NKorea's only voice of freedom
#기술

국산 차세대 대상포진 백신 개발 경쟁 본격화

류근웅류근웅 인스피리오 기자· 2025. 10. 22. 오후 3:53:17|
국산 차세대 대상포진 백신 개발 경쟁 본격화

국산 차세대 대상포진 백신 개발 경쟁 본격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차세대 대상포진 백신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 영국 제약사 GSK의 싱그릭스가 독점하고 있는 대상포진 백신 시장에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녹십자, 차백신연구소, 유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기업들은 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재조합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더 나은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국산 백신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특히 차백신연구소는 지난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대상포진 백신 후보물질 CVI-VZV-001에 대한 국내 임상 2상 시험 계획을 신청하면서, 국산 백신 개발 경쟁에 더욱 불을 지폈다. 대상포진은 3명 중 1명이 겪는 흔한 질병이지만, 현재 시판 중인 백신은 접종 시 통증이 심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국산 차세대 백신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차세대 백신 개발 경쟁의 배경

기존 대상포진 백신 시장은 GSK의 싱그릭스가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싱그릭스는 높은 예방 효과를 자랑하지만, 접종 시 통증이 심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 때문에 소비자들의 부담이 큰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싱그릭스의 단점을 극복하고, 더 나은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백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재조합 백신은 기존 생백신에 비해 안전성이 높고, 면역 효과도 뛰어나 차세대 백신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자체 개발한 면역증강제 기술을 활용하여 백신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여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대상포진 발병률이 높아지고, 백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차세대 백신 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기업들은 적극적인 연구 개발 투자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 백신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주요 기업별 개발 현황

녹십자는 mRNA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대상포진 백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mRNA 백신은 기존 백신에 비해 개발 기간이 짧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백신으로 주목받고 있다. 녹십자는 자체 개발한 mRNA 기술을 활용하여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을 코딩하는 mRNA를 설계하고, 이를 인체에 투여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전임상 단계에 있으며, 2026년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백신연구소는 면역증강제 기술을 활용한 재조합 백신 CVI-VZV-001의 임상 2상 시험 계획을 식약처에 신청했다. CVI-VZV-001은 차백신연구소의 독자적인 면역증강제 기술인 L-pampo™를 적용하여 백신의 면역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임상 2상 시험을 통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 2027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재조합 단백질 백신 EuVZ를 개발하고 있다. EuVZ는 대상포진 바이러스의 특정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하고, 이를 인체에 투여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전임상 단계에 있으며, 2026년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전망 및 기대 효과

국내 기업들의 차세대 대상포진 백신 개발 경쟁은 국내 백신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 증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산 백신이 상용화되면, 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하여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접종이 가능해지고, 가격 경쟁력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백신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백신 수출을 확대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백신 산업 육성을 위해 연구 개발 지원, 임상 시험 지원, 규제 완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국내 백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차세대 백신 개발은 미래 감염병 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 기업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투자를 통해 글로벌 백신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liExpress